안녕하세요 케이블가이 입니다.
오늘은 자동차 전선 기초 부분을 설명하겠습니다.
1. 전선이란
1) 전기를 목적하는 곳으로 보내는데 사용하는 통로로써 일반적으로 통로의 재질은 금속선이 사용된다
2) 전선을 구조적으로 보면 전류를 흘려주기 위한 금속(이것을 도체라 부르며 CU와 AL이 주종임)과 전압에 견디고 전류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체를 둘러싼 피복체(절연체라고도 부름)로 구분된다. 기타 외장은 도체 및 절연체를 보호하기 위한것임
2. 전기의 성질
1) 전압 : 도체내이 두점간의 전위의 차를 전압이라 하며 전위차를 측정하는 계기가 전압계임
2) 전류 : 전기의 유동현상, 즉 전기가 전선등에 흐르고 있는 전기의 크기를 말함. 일반적으로 흔히 전기가 흐르고 있다고 말합니다 전류는 전자[electron]라는 극히 작은 입자의 흐름(전자의 이동) 이라고 합니다.
3) 저항 :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성질로 단위는Ω으로 표기하며, 도체재료의 종류, 온도, 길이, 단면적 등에 의해 결정된다. 도체의 고유저항 및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고유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물질의 고유한 성질. 저항률은 기호는 ρ, 단위는 [Ω·m] (연동선:1/58)
3. 도체의 구성
1) 단면적이 큰전선 또는 단면적이 적어도 유연성을 필요로 하는 전선에는 연선기로 필요수 동선을 꼰 연선을 사용한다. 기타는 단선을 사용한다
(1) 단선 : 도체가 한 가닥으로 된 전선으로 굵기는 도체의 지름[mm]로 나타낸다.
단선 전선
(2) 연선 : 여러 개의 가는 도체를 한 가닥으로 꼬아서 만든 전선. 굵기는 도체의 총 단면적[mm²], 또는 (가닥 수/소선의 지름)으로 나타낸다.
연선 전선
(3) 연선의 방법
① 집합연선 : 다수의 작은선(일반적으로 0.45mm이하의 연동선)을 일괄하여 동일방향으로 연선하는 방식으로 코드선과 같이 유연성을 필요로 하는 전선으로 사용한다.
② 동심연선 : 1봉의 소선을 중앙에 놓고 그주위에 소선을 동심상으로 층을 이루며 연선하는 방식이다.
③ 복합연선 : Rope연 이라고도 부르며 집합연선 또는 동심연선으로 된 연동선 또는 석도연동선을 소선으로 하여 다시 이것을 동심연선으로 연선하는 방식이다 복합연선은 유연성을 필요로 하는 절연전선이나 비교적 도체 SIZE가 큰경우의 도체로 사용된다
④ 압축연선 : 연선을 압축하여 모양을 변형해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전선외경을 작게하고 점적율을 좋게한다.
4. 전선 자재의 비중
1) 동 : 8.89
2) 알루미늄 : 2.70
3) 철 : 7.85
신선 다이스(DIES) 종류 (0) | 2019.09.16 |
---|---|
전선의 이해 - 도체의 재질별 분류 (0) | 2019.09.16 |
[자동차용 전선] 입문 전선 제조공정 (0) | 2019.08.09 |
[자동차용 전선] 입문 자동차용 전선 구조 - 도체 및 절연체 (0) | 2019.08.09 |
케이블 차폐 효과 이론 (0) | 2019.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