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전 사고의 방지 1. 전기장 내에서 단위전하가 갖는 위치 에너지를 전위라 한다. 전위의 기준은 대지의 전위이고, 두 지점간의 전위의 차를 전위차 또는 전압이라고 한다. 전기가 흐르기 어렵게 되는 정도를 전기저항, 또는 저항(Ω, 옴)으로 표시하며,전류의 크기는 초 당 몇 쿨롱(C)의 전하가 이동했는지를 표시하며 암페어 (A) 단위를 이용한다. 2. 연구실 전기설비(전원)는 주로 3상 4선식으로, 220V는 3상 배선방식에서의 RㆍSㆍT상 중에서 한 상과 변압기 2차측에서 접지된 N상에 연결된 중성선 1선, 총 2선으로 구성된다. 즉, 220V 콘센트의 두 구명 중 하나는 Hot line, 다른 하나는 중성선에 연결 되어 있다. 3. 감전이란 인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하며, 이..
◇ 화학ㆍ가스ㆍ생물 분야에 대한 사고 발생 요인 1. 화학 약품 : 연구실 사고 발생 요인 • 안전밸브 전단에 설치된 밸브 차단 등 불안전한 행동 • 실험성과 조기 획득을 위한 조급한 연구실행(과도한 약품 혼합 등) • 연구공간과 실험 공간 구획 미 실시 • 물질안전보건자료 숙지 미흡 • 위험 물질 취급 시 적정 보호 구미 착용 • 시약용기 장기간 방치 사용 • 위험 공정에 대한 사전 위험성 평가비 실시 • 초기 제작 설계에 반영된 안전설비 미 설치 2. 고압가스 : 연구실 사고 발생 요인 • 고압가스용기 설치, 사용 전 숭인 된 내압시험 미시행 • 가연성가스 사용 실험실에 가스 누출감지 경보장치 미 설치 • 노후 된 고압가스용기 부속품 온 방치 등 점검 미흡 • 고압가스 용기의 밸브에 대한 잠금 및 열..
◇ 가스의 개요 1. 가스는 대부분 눈에 보이지 않고,냄새가 나지 않으므로 감각만으로 그 존재를 확인하기 어렵다. 모든 가스가 해를 끼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하고자 하는 가스의 특징을 파악하고 위험요소에 유의하여야 한다. 2. 가스사고의 형태는 고압,질식,가연성, 폭발, 독성, 부식,산화, 자연발화, 초저온 등이 있으며, 사고의 원인은 대부분 가스의 누출로 인하여 질식, 중독,폭발이 일어나게 된다. ◇ 가스실린더의 관리 및 저장 1. 압축가스 용기의 온도가 상승하면 내부 압력도 올라간다. 압축가스가 팽창하여 누출되면 화재, 폭발 등과 연결되기 쉬우므로 누출에 유의하여야 한다. 2. 가스 실린더의 관리 시 누설 점검 및 방지가필수이며, 온도 및 압력유지, 환기확인,누설 시 화재위험성에 유..
가스의 개요 1. 가스는 대부분 눈에 보이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으므로 감각만으로 그 존재를 확인하기 어렵다. 모든 가스가 해를 끼칠 수 있는 성질을 가지므로, 사용하고자 하는 가스의 특징을 파악하고 위험요소에 유의하여야 한다. 2. 가스사고의 형태는 고압, 질식, 가연성, 폭발, 독성, 부식, 산화, 자연발화, 초저온등이 있으며, 사고의 원인은 대부분 가스의 누출로 인하여 질식, 중독, 폭발이 일어나게 된다.
2019 가스 안전교육-정답지 #연구실안전교육시스템정답#연안교육시스템정답#가스안전교육정답#2019가스안전교육정답#가스안전교육#가스안전교육2019정답 1. 다음 중 독성가스가 아닌 것은? [선택형] (점수 : 6.0 / 6.0) 1. 암모니아 2. 염소 3. 불소 4. 질소 정답 1 2. 다음 중 가스 실린더 구매 시 올바른 자세가 아닌 것은? [선택형] (점수 : 6.0 / 6.0) 1. 실험을 위해 필요한 조건 중 가장 안전한 형태의 가스를 선택한다. 2. 연구를 위해 저장이 필요한 최소한의 양의 두 배 만큼만 구매한다. 3. 반납가능한 용기에 저장된 가스를 선택한다. 4. 독성, 가연성, 부식 가스의 경우 배기나 퍼지, 감압을 위한 장치가 갖추어졌는지 확인한다. 정답 2 3. 독성가스누출 시 처리에 ..
화학안전교육 정답 #연구실안전교육시스템정답#연안교육시스템정답#화학안전교육정답#2019화학안전교육정답#화학안전교육#화학안전교육2019정답 1. 다음 중, 유해물질의 튐으로부터 안구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해야 하는 보호구는? [선택형] (점수 : 7.0 / 7.0) 1. 마스크 2. 보안경 3. 귀마개 4. 보호장갑 2. 다음 중,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선택형] (점수 : 7.0 / 7.0) 1.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에 의해 정의됨 2. 유해성 또는 위해성을 지닌 물질 3. 유독물, 관찰물질 등이 포함됨 4. 인체나 동식물의 건강에 유용한 화학약품 3.다음 중, 보호장갑 사용 시, 고려해야될사항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선택형](점수 : 7.0 / 7.0) 1.사용 전 반드시 마모되거나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