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가이

안녕하세요 케이블 가이 입니다. 


자동차용 전선에 관한 입문편 입니다. 가장 간단한 구조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전선의 구조는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1. 도체 

  1)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하는 도전성 기능을 가진 재료 입니다.   

  2) 도체의 구조로는 단심, 동심선, 집합선, 복합연성등이 있습니다만 자동차에는 단심을 적용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3) 동심선 : 특징으로는 단심도체를 배열하여, 꼰 도체를 말하며, 구조가 안정적 입니다.   

  4) 집합선 : 단심도체를 배열 없이 꼰 도체를 말합니다.

  5) 복합연선 : 집합된 도체를 다시 꼰 도체이며, 구조가 안정적이며, 정육면체의 형태를 나타냅니다. 면적이(SQ) 큰 도체 작업시 사용하는 방법 입니다.

  6) 도체 재질(종류) 

   - 연동선 : 도전성이 높으며, 유연성이 좋고 가공성이 우수합니다.  

   - 주석도금연동선 : 연동선에 주석을 선으로 대기중에서 산화 부식되지 않으며, 연동선에 비해 납떔 특성이 좋고, 도금가공이 용이하여 타 도금선 대비 가격이 저렴한것이 특징 이며, 최대 사용가능한 온도는 150℃ 입니다. 

   - 니켈도금연동선 : 표면경도가 강하고 표면이 매끈합니다. 최고 사용온도는 300℃ 입니다. 




2. 절연체 

  1) 자동차용 절연체로는 PVC > XLPE > PP > 불소수지(테프론)가 사용되며, 사용량 순서는 왼쪽과 같다. 

  2) PVC : 저렴한 가격, 우수한 기계적 물성, 자체 난연성, 경도 조절 용이 하며, 우수한 가공성등이 장점이며, 단점으로는 낮은 내열성, 가공시 또는 화재시 유독가스(염소가스, Cl Gas)가 발생한다. 

  3) XLPE : 우수한 전기절연성, 내화학성, 가교로 인한 고온에서 우수한 물성 유지 및 친환경 원료(할로겐 프리) 라는 장점이 있으며, PE 레진 자체 난연성 부족으로 난연 처방을 추가 해야하는 단점이 있음.

  4) PP : 우수한 기계적물성, 내마모성이 우수하지만, 유연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음 

  5) 불소수지 : 우수한 내열성, 불연성, 내화학성, 내식성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가격이 고가라는 단점이 있음. 자동차용 전선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불소수지는 FEP, PTFE, PFA 입니다. 

'자동차용 전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용 전선의 이해 - 기초편  (0) 2019.09.14
[자동차용 전선] 입문 전선 제조공정  (0) 2019.08.09
케이블 차폐 효과 이론  (0) 2019.07.03
용어 - TEMPEST  (0) 2019.06.26
용어 - EMP  (0) 2019.06.26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